우분투 리눅스

5장 3교시~4교시 , 6장 1교시~3교시

dmswo 2024. 10. 17. 18:02

3교시

X 윈도 : 리브레오피스, 우분투 소프트웨어 사용법

 

 실습 : Foxit Reader 다운해서 pdf 읽기 등 여러 소프트웨어 소개


4교시

VirtualBox 설치, KDE 설정


1교시

하드디스크 관리 : SATA 장치와 SCSI 장치

 

<추가공부>

-SCSI(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)는 다양한 장치(디스크, 프린터, 스캐너 등)를 컴퓨터에 연결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 중 하나

-"디스크"는 컴퓨터 시스템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를 의미한다. 구체적으로는 **하드 디스크 드라이브(HDD)**나 **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(SSD)**를 지칭할 수 있다.

- SATA slot은 컴퓨터의 메인보드(motherboard)에서 SATA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. SATA(Serial ATA, 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)는 컴퓨터와 저장 장치(하드 디스크, SSD, DVD/CD-ROM 등)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표준 중 하나.

SATA 슬롯은 이러한 장치들이 메인보드에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접속 포인트라고 생각하면 된다.

 

Server의 하드웨어 구성도

DISK는 SCSI 0:0 에 장착되어있고 CD, DVD는 SATA 0:1에 장착되어있다.

 

보통 디스크는 하드디스크, SSD 같은 거라 생각하면 됨

 

  • 디스크는 광범위한 저장 장치의 범주를 포함한 용어.
  • **하드디스크(HDD)**는 자기 디스크를 사용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물리적 저장 장치.
  • SSD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자식 저장 장치로, HDD보다 빠르고 충격에 강하지만 가격이 높다.

기억할 것 

- 리눅스 안에서는 SATA 0:1 에 장착된 DVD 장치 또는 CD-ROM 장치를 /dev/sr0 이라고 부른다.

 

- SCSI 0 에 처음으로 장착된 SCSI 0:0 은 하드웨어적으로 부르는 말이고 리눅스 안에서는 /dev/sda 라고 부른다.

두번째는 /dev/sdb , 세번째는 /dev/sdc  ... 

SCSI 0:0에 장치가 장착되지 않고 SCSI 0:2에 처음 장치가 장착되었다면 /dev/sda는 SCSI 0:0가 아닌 SCSI 0:2이다.

 

헷갈리는 용어 정리

루트 디렉토리 하면 / 을 이야기하는거고 루트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는 /root 라고 이야기하는 것

SCSI, SATA 확인


2교시

하드디스크 관리 : 하드디스크 추가 개념

 

실습 흐름도


3교시

하드디스크 관리 : 하드디스크 1개 추가 실습

2교시 실습 흐름도를 보면서 실습 진행

물리적인 하드디스크를 장착 후 (깡통 상태) fdisk로 파티션 나누기

 

<fdisk의 주요 명령어만 알기>

fdisk의 n 명령어는 새로운 파티션 만들기

Partition type는 주로 p 사용

파티션은 4개까지 나눌 수 있음

p로 생성한 파티션 확인하고 w로 적용하기

fdisk

<mkfs.ex4>

파티션 이름으로 적어주기 ! (/dev/sdb 가 아닌 /dev/sdb1 임)  

<mount>

mkfs.ext4, mount

mydata 디렉토리 안에 파일을 복사하니 /dev/sdb1의 사용량이 1%에서 2%로 증가함

 

 

umount

umount를 하면 sdb1이 아닌 sda2에 연결돼서 testFile이 보이지 않고 test1이 보임

 

 

컴퓨터를 껐다 켜도 mount를 유지하려면 /etc/fstab에 등록하기

/etc/fstab

 

 

reboot 후에도 잘 mount되어있는 걸 볼 수 있다.

'우분투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6장 9교시~10교시  (0) 2024.10.20
6장 4교시~8교시  (0) 2024.10.19
5장 1교시~2교시  (0) 2024.10.17
4장 15교시~19교시  (0) 2024.10.15
4장 14교시  (0) 2024.10.1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