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교시
원격지 시스템 관리 : 텔넷 서버

실습 흐름도 : 텔넷 서버 구축



[실습3] : 텔넷서버는 23번 포트를 사용하고 tcp 프로토콜 사용

[실습4] : 자기 자신이 접속해보면서 문제가 없음을 확인한다. -> 아까 편집한 설정 파일에 문제 없음을 확인 가능
WinClient 에 텔넷 클라이언트 설치함

[실습5] 텔넷 클라이언트에서 Windows PowerShell로 네트워크가 정상인지 ping으로 확인 , telnet 192.168.111.100(서버 IP) 로 텔넷 클라이언트가 텔넷 서버에 접속

[실습6] IP주소를 보아 텔넷 클라이언트에서 접속했지만 텔넷 서버에서 작업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이다.

[실습7] 한글이 안깨지고 잘 보이게 하려고 다양한 텔넷 클라이언트 중 한글푸티를 설치해서 사용하겠다.

2교시
원격지 시스템 관리 : OpenSSH 서버, XRDP 서버


[실습1]
기억할 것 : systemctl restart ssh(서비스 이름)로 서비스 작동시킨 후 작동한 서비스를 확인하기 위해 systemctl status ssh 한다. q로 빠져나올 수 있음

[실습2]
ufw allow 22/tcp 명령은 SSH 서버를 설치할 때 방화벽 설정에서 SSH 연결을 허용하기 위해 사용된다. 포트 22는 SSH 연결을 위한 기본 포트, TCP 프로토콜 사용
ufw는 Uncomplicated Firewall의 약자이며 Ubuntu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방화벽 관리 도구이다.

[실습3]
저번 실습에 다운받은 putty가 텔넷 클라이언트 기능도 하고 SSH 클라이언트 기능도 하기 때문에 사용한다.

[실습4] 굳이 SSH 전용 사용자로 접속 할 필요는 없어서 저번에 만들었던 teluser로 접속함

실무에서는 평소 보안이 좋은 SSH 서버를 구축해놓고 필요할 때는 XRDP 서버를 구축만 해놓고 가동은 안한다.

'우분투 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장 1교시~5교시 (0) | 2024.10.29 |
---|---|
9장 1교시~5교시 (0) | 2024.10.25 |
7장3교시 (0) | 2024.10.22 |
7장 1교시~2교시 (0) | 2024.10.21 |
6장 13교시~14교시 (0) | 2024.10.20 |